반응형
🧾 2025년 전 국민 민생지원금, 꼭 알아야 할 것들
전 국민 대상 민생지원금이 7월 중순부터 지급됩니다. 현금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소비쿠폰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 보류 또는 자동 제외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전 국민 민생지원금 지급 일정과 지급 방식, 대상별 지원금액 등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지급 일정 및 방식
항목 | 내용 |
---|---|
지급 시기 | 2025년 7월 21부터 |
지급 방식 | 지역화폐 / 선불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 |
총 예산 | 13조 2천억 원 |
지급 횟수 | 2회 분할(1차 7월 21일-9월 12일, 2차 9월 22일-10월 31일) |
👤 신청 대상 및 민생지원금 금액
대상 | 1차 지급 | 2차 지급 | 총액 |
---|---|---|---|
소득 상위 10% | 15만원 | 없음 | 15만원 |
일반 국민 | 15만원 | 10만원 | 25만원 |
차상위·한부모가족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기초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0만원 |
비수도권 거주자 | 추가 3만원 지급 | ||
인구감소지역 주민 | 추가 5만원 지급 |
📊 소득 상위 10% 기준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273,380원 이상
- 지역가입자: 209,970원 이상
- 연소득 약 7,700만 원 이상
- 가구 단위로 판단 / 맞벌이 합산 적용
📌 민생지원금 신청 전 확인!
✅ 반드시 지급 수단을 선택하여 신청해야 지급 대상이 됩니다.
✅ 지급 수단으로 신용카드/체크카드, 지역사랑 상품권, 선불카드 중에서 사전 선택 필수
✅ 사용처는 자신의 거주지 소상공인 매장 전용입니다.
❌ 민생회복 지원금은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민생회복 지원금은 카카오 톡이나 메세지로 신청할 수 없습니다. 메세지 URL로 신청 유도하는 사기에 조심하고, 절대 URL 클릭하면 안됩니다.
📖 예시로 알아보는 수령 금액
- 맞벌이 직장인 부부 (상위 10%): 15만 원
- 소득 상위 10%에 포함되지 않는 90%: 25만 원(기본 15만 원 + 10만 원)
- 차상위 지방 거주: 43만 원(40만 원 + 3만 원)
- 기초수급자 + 인구소멸지역: 55만 원(50 + 5만 원)
💌 전 국민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한 줄 정리
민생지원금은 최소 15만 원부터 최대 55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지급 수단을 선택하여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으니, 위 정보를 잘 활용하세요.
🔗 참고 사이트
- 정부 24 민생지원금 안내 바로가기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추천 글 보기
누진제 피하는 똑똑한 여름 전기요금 절약법
누진제 피하는 똑똑한 여름 전기요금 절약법여름만 되면 무서운 게 딱 하나 있습니다. 바로 전기요금 고지서입니다. 냉방기기 없이 살 수는 없고, 쓰자니 요금 폭탄이 두렵고 특히, 누진제 때문
tomehahaha.com
반응형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가구 월세 지원 모음 (7) | 2025.06.24 |
---|---|
워렌 버핏처럼 단순하게 살기 (4) | 2025.06.23 |
여름휴가 항공권, 언제 사야 가장 저렴할까 (4) | 2025.06.21 |
걷는 명상, 여름 산책 루트 5곳 (3) | 2025.06.20 |
여름 집콕 소확행 아이템 (2)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