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도메인 리다이렉트 */ 재개발 이주비와 중도금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재개발 이주비와 중도금 총정리

by Happy Apple Tree 2025. 4. 6.
반응형

재개발 이주비와 중도금 대출 신청 총정리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 진행에서 이주비 대출중도금 대출 신청 시기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후 공급계약서 쓰기 전 집을 매매할 경우나 집이 완공된 후 본인이 들어가 살집이 아니라면 아무리 자산이 많은 조합원이라도 이주비 대출과 중도금 대출을 받는 것이 추후 집 매매 시 유리합니다. 오늘은 각 대출의 신청 시기, 절차, 자격 조건을 중심으로 최신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1. 이주비 대출이란?

이주비 대출은 재개발 또는 재건축 구역의 조합원이 기존 거주지에서 이주할 때 필요한 비용을 조합이 협약한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받는 제도입니다. 

📌 신청 시기

  ✔️ 이주비 대출은 일반적으로 관리처분계획인가 이후에 신청 가능합니다.

  ✔️ 조합이 금융기관과 협약을 맺은 뒤, 이주통지서 발급 시점부터 접수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절차

  1. 조합이 금융기관과 이주비 대출 약정 체결
  2. 조합원에게 이주 안내 및 신청 서류 배포
  3. 조합원은 개별적으로 신용심사 진행 (소득, 부채 등 반영)
  4. 승인 후 대출금은 개인 계좌 또는 조합 명의 계좌로 지급

📌 핵심 조건

  ✔️ 최대 60~70%까지 담보 인정 (담보는 기존 부동산)

  ✔️ 대출 이자는 조합원 부담 (조합에 따라 일부 지원 가능)

  ✔️ 개인의 신용도와 부채 비율에 따라 심사 탈락 가능성 있음

2. 중도금 대출이란?

중도금 대출은 분양 계약 체결 이후 착공 시점부터 준공 전까지 납부해야 하는 중도금에 대해 대출을 지원받는 방식입니다.

📌 신청 시기

  ✔️ 분양 계약 체결 이후, 일반 분양 즈음에 시공사 안내에 따라 신청

  ✔️ 보통 전체 중도금 3회 또는 6회 분납 구조 중, 1차 납부 시점 전에 신청

📌 신청 절차

  1. 분양 계약 체결 및 계약금 10% 납부
  2. 시공사 또는 분양사무소를 통해 협약 은행 안내 수령
  3. 대출 약정서 작성 및 개인 신용심사
  4. 승인 후 자동으로 분납 구조에 따라 은행이 중도금을 납부

📌 핵심 조건

  ✔️ 대출 한도: 계약금 제외, 중도금 전액의 약 60~70%까지 지원

  ✔️ 이자 부담은 일반적으로 계약자 개인이 부담

  ✔️ 주택담보대출 규제지역일 경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한에 유의

3. 이주비 vs 중도금 대출 요약

📌 자산이 많아도 이주비와 중도금 대출을 받아 두는 것이 추후 집 매매 시 유리합니다.

📊 요약 비교 표

항목 이주비 대출 중도금 대출
대출 시점 관리처분인가 이후 분양 계약 이후, 일반분양 시점
대상 조합원 일반분양자, 조합원 (분양자격자)
실행 주체 조합 금융기관 건설사 제휴 금융기관
담보 기존 주택 (종전자산) 분양권
한도 감정가의 70~80% 분양가의 최대 60%
이자율(2025) 3.5%~5% 4%~5.5%
상환 시점 입주 정산 잔금 일괄 상환

 

 

 

📎 참고자료 및 출처

✅ 마무리

재개발이나 재건축 사업에 참여하는 조합원 또는 일반 분양 계약자라면 이주비와 중도금 대출 시기와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을 참고하여 사전에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안정적인 주거이전을 위한 핵심 포인트입니다.

반응형